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8

고1수학 행렬의 부활! 행렬의 의미와 수능 2022년 개정 교육과정이 확정되었는데 고1수학에서 [행렬]이 부활 된다고 합니다. 행렬은 2000년대 중반까지 고교 수학과정에 포함되었다가 학습부담을 줄인다는 이유로 2009년 부터 제외되었다. 행렬의 부활 정부가 디지털 교육을 강화하고 고교학점제를 뒷받침 하기 위해 고교 교육과정을 7년만에 개정했습니다. 그간 교육계에서는 인공지능 (AI) 이해를 위해 행렬과목을 필수적으로 배워야 한다고 주장해 왔고 그로인해 수포자를 양산한다는 비판때문에 2009년에 교육과정에서 제외되었던 행렬이 다시 교육과정에 포함되었다. 실제로 그당시에 행렬을 이용한 수능문제는 4점 변별력 문항으로 출제가 되어 많은 학생들에게 어려움을 안겨 주었다. 요즘 수능에 나오는 킬러문항처럼 그당시에도 행렬이 킬러 문항으로 출제가 되어 50.. 2023. 5. 3.
백분율 이해하기. 물건을 살때 10%할인 , 20%할인 이런문구를 많이 본다. 그런데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할인 금액이 얼마인지 모르는 경우가 있다. 백분율에 대해 이해해 보자 백분율이란?? 백분율은 전체의 수량을 100으로 하여 , 생각하는 수량이 그 중 몇이 되는가를 나타내는 수로 기호는 % 로 표현하고 (퍼센트)라고 읽는다. 우리가 물건을 살때 50%할인, 10%할인 등의 문구를 자주 볼수 있는데 이는 기준량을 100% 로 두고 할인 비율만큼의 금액을 차감해서 판매 한다는 뜻이다. 다시 말하면 분수나 소수는 1을 기준량으로 정해서 0.5 나 1/2 등으로 표현 하지만 백분율은 100을 기준량으로 해서 50 으로 표현 한다는 뜻이다. 우리가 백분율을 표현할때는 비율을 분수나 소수로 표현한 다음에 100을 곱해서 표현.. 2023. 4. 30.
원리합계와 단리 복리의 이해 가장 일반적인 재테크로는 은행적금이 있습니다. 대중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저축방법이고 안정성이 가장 뛰어난 방면 금리에대 한 정확인 이해가 없으면 오히려 좋은수익의 투자기회를 놓칠수도 있다. 오늘은 원리합계와 단리 복리에대해 알아보자. 원리합계란? 쉽게말해서 원금과 이자를 합한 금액을 원리합계라고 합니다. 원리합계는 단리법과 복리법으로 구분되는데 은행에서 저축을 할때나 대출을 할때 꼭 알고 있어야하는 상식이다. 그 이유는 내가 가진 자본과 투자기간을 잘 고려해서 단리와 복리중 어느것이 더 좋은 수익을 낼수 있는지 스스로 계산하고 판단할수 있어야한다. 대차 기간에 비례하여 이자를 계산하는 방법을 단리법이라 하고, 일정 기간마다 이자를 계산하고 그것을 원금에 가산하는 방법을 복리법이라 하는데, 복리는 단.. 2023. 4. 29.
수학포기자 극복 방법 3단계(연산,함수,단원스킵) 대부분의 수학포기자들은 비슷한 상황으로 인해 수포자가 됩니다. 그리고 비슷한 방법으로 수포자를 극복하고 다시 수학을 시작합니다. 수포자 탈출 노하우를 적어보려 합니다. 연산부터 시작하라! 수학을 포기하는 학생들의 대부분이 연산력이 매우 떨어집니다. 분수연산부터 소수 연산 정수 덧셈 뺄셈까지 중학생이 되었음에도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연산을 정확히 알지못하는 상태로 수학을 진행하고 학년이 올라갑니다. 실제로 가르친 학생중에는 학원에 2~3년을 다니고 과외까지 했음에도 정수의 연산이나 분수의 연산도 정확히 모르는 경우가 다수 있었습니다. 연산을 제대로 정립하는건 그렇게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습니다. 초등전체와 중1 전체 연산은 마음만 먹으면 하루면 다 끝낼수 있습니다. 하루만에 할수 있는 공부때문에 수년간 .. 2023. 4. 24.